본문 바로가기

한글, 한국어 맞춤법29

안/않, 되/돼 제대로 구분하기 한국어 맞춤법에서 가장 자주 틀리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안/않’과 ‘되/돼’ 구분입니다. 말을 할 때는 발음으로 구분이 안 되기도 하며 한 번 자신에게 익혀진 표기는 굳어져서 바꾸기 힘들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쓸 때 무심코, 또는 몰라서 구분하기 힘든 이 표현들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정리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안 vs. 않 구분법‘안’은 부사로서 동사나 형용사 앞에 붙어 동작이나 상태를 부정합니다. 예를 들어 “밥을 안 먹었다”, “공부를 안 한다”처럼 쓰는 경우입니다. 즉, ‘안’은 단순히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됩니다. 반면 ‘않’은 ‘아니하다’에서 줄어든 형태로, 활용형 어미와 결합해 쓰입니다. 예를 들어 “가지 않는다”, “웃지 않는다.. 2025. 9. 10.
숫자와 단위 표시 맞춤법 규칙 총정리 일상 글쓰기나 보고서, 블로그 글을 작성할 때 숫자와 단위를 정확히 표기하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그러나 "3 kg" "10Km"처럼 잘못된 표기가 여전히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숫자와 단위 표기 규칙은 단순히 외형적인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인 통용성과 문서의 신뢰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1. 단위 기호는 붙여 쓰되 대소문자에 주의숫자와 단위를 함께 표기할 때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숫자와 단위 기호를 붙여 쓰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5kg", "20m", "15cm"처럼 적어야 맞습니다. 흔히 "5 kg"처럼 숫자와 단위 사이를 띄우거나, "Kg", "Km"처럼 잘못된 대문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모두 규칙 위반입니다. 국제단위계(SI)에서는 모든 단위 기호를 기본적으로 소문자로 적습니.. 2025. 9. 10.
음식 이름 외래어 표기법 총정리 일상에서 자주 쓰는 음식 이름은 대부분 외래어입니다. 피자, 스파게티, 리소토, 샌드위치, 초콜릿, 햄버거 같은 단어는 이미 한국어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지만, 표기법을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짜’, ‘스파게띠’, ‘리조토’, ‘돈까스’처럼 틀린 표기가 흔히 보이는 이유입니다.외래어 표기법은 국립국어원이 정한 기준에 따라 한국어 음운 체계에 맞추어 적는 규칙입니다. 올바른 표기를 지키면 글의 신뢰성을 높이고, 검색 최적화(SEO)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 관련 블로그, 리뷰, 메뉴판을 작성할 때는 외래어 표기를 정확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자주 틀리는 음식 외래어 표기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음식 이름을 잘못된 표기와 올바른 표기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잘못된 .. 2025. 9. 10.
IT 용어의 올바른 외래어 표기법 IT 용어에서 외래어 표기법이 중요한 이유현대 사회에서 IT 용어는 일상생활과 업무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입니다.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을 사용할 때 자연스럽게 접하는 용어들이 대부분 영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단어들을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표기 규정을 지키지 않고, 관습적 표기나 잘못 굳어진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server를 ‘써버’라고 쓰거나,monitor를 ‘모니터’ 대신 ‘모니터링 장치’ 등으로 임의로 변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에서는 한국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발음할 수 있도록 일정한 원칙을 마련해 두었습니다. IT 외래어 표기법을 올바르게 지키면 전문 문서의 신뢰도를 높이고, 블로그 글이나 기술 문서에서도 검색 최적화 .. 2025. 9. 10.
영어 단어 외래어 표기 시 주의할 점 영어에서 유래한 외래어는 한국어에서 일상적으로 쓰입니다. 하지만 원어 발음과 표기 규정이 다르기 때문에 실수하기 쉽습니다.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chocolate을 ‘쵸콜렛’이라고 쓰지만, 올바른 표기는 ‘초콜릿’입니다. 또talent는 ‘탈렌트’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나, 규정상 ‘탤런트’가 맞습니다.영어 외래어 표기는 단순히 발음을 적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 음운 체계에 맞춰 변형하는 규칙이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어 외래어 표기 시 주의할 기본 원칙과 자주 틀리는 단어 예시를 통해 올바른 맞춤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발음을 그대로 옮기지 않는다영어 단어를 표기할 때 흔히 범하는 오류는 원어 발음을 그대로 적으려는 시도입니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없는 음이 많기 때문에 비슷한 소리로 바꿔 적는 것.. 2025. 9. 9.
외래어 표기법 기초 이해하기 외래어의 개념과 표기법이 필요한 이유한국어에는 오랫동안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말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단어들을 우리는 외래어라고 부르며, 영어·프랑스어·독일어·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유래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피아노, 택시와 같은 단어는 모두 외래어에 해당합니다. 문제는 외래어가 원래 발음을 그대로 옮기기가 어렵고, 사람마다 표기를 다르게 하면서 혼란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cake를 어떤 사람은 ‘케익’이라 쓰고, 다른 사람은 ‘케이크’라 쓰기도 합니다. 이런 차이를 줄이고 한국어 표기 체계를 통일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을 제정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은 한글 맞춤법과는 별도의 규정이지만, 글쓰기에서 정확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2025.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