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문법은 JLPT 독해·청해에서 진짜 자주 등장하는 반전·예외 표현 「〜かというと」입니다. ‘겉보기엔 A 같지만 사실은 아니다’ 혹은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라는 뉘앙스를 전달할 때 꼭 나오는 표현이에요.
1. 의미
“A인지 하면 꼭 그런 것은 아니다”
“겉보기에는 A지만 실제로는 다르다”
어떤 일반적인 기대나 가정을 반박하거나, 예외적인 상황을 설명할 때 쓰이는 문법입니다.
2. 형태
普通形(보통형) + かというと
・명사 / な형용사 → な + のかというと (형식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존재)
・일반적으로는 보통형이 자연스럽습니다.
3. 핵심 예문
- 日本人なら日本の歴史に詳しいかというと、そうでもない。
→ 일본인이라고 해서 일본 역사에 꼭 자세한 것은 아니다. - 高いレストランなら料理が美味しいかというと、そうとは限らない。
→ 비싼 레스토랑이라고 해서 반드시 맛있다고 할 수는 없다. - 留学したから日本語が上手かというと、そうでもない人もいる。
→ 유학했다고 해서 일본어를 잘하는 것도 아니다. - 運動が得意かというと、実は体育が苦手だ。
→ 운동을 잘하냐 하면 사실 체육을 못한다.
4. 자주 함께 쓰는 패턴
① 〜かというと、そうでもない
→ “그렇다고 할 수는 없다”라는 의미
② 〜かというと、そうとは限らない
→ “반드시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③ 〜だからといって〜かというと
→ “A라고 해서 B라고 단정할 수 없다”라는 강한 반박
5. JLPT 실전 포인트
- 독해에서 “일반적 고정관념 → 반박” 구조의 문장에 자주 등장
- 청해에서도 기대·예상이 뒤집히는 문맥에서 고빈도
- 항상 뒤에 否定(부정) 또는 예외 내용이 따라옴
- 형식적으로는 「〜かといえば」와 거의 동일하게 쓰임
6. 비슷한 표현 비교
| 표현 | 뜻 | 차이점 |
|---|---|---|
| 〜かというと | 꼭 그렇지는 않다 | 일반적 기대를 뒤집는 ‘반전’ 강조 |
| 〜とは限らない |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 조건 전체를 부정하는 느낌 |
| 〜わけではない | 전부가 아니다 | 일부 예외를 인정하고 부드럽게 부정 |
7. 연습 문제
빈칸에 알맞은 표현을 넣어보세요.
- 値段が高いと品質がいい ______ 、そうとも言えない。
- 日本に住んでいると日本語が上手 ______ 、そうではない人もいる。
정답
1) かというと
2) かというと
정리
「〜かというと」는 JLPT에서 ‘반전·예외’를 설명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문법입니다. 일상 회화에서도 자연스럽게 자주 쓰이기 때문에 실전 활용도 역시 높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