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

겨울철 ‘환기 의무’ 논란 — 계약서에 “환기 안 해서 생긴 결로는 세입자 책임” 정말 맞을까?

by 내디디니 2025. 11. 22.
반응형

겨울철만 되면 많은 세입자들이 겪는 대표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결로(이슬 맺힘) 문제입니다. 유리창이 젖어 흐르고, 벽지가 젖으며 곰팡이가 생기면 건강 문제까지 이어질 수 있죠.

그런데 임대차 계약서에 이런 문구가 적혀 있는 집이 매우 많습니다.

“적정 환기를 하지 않아 발생한 결로 및 곰팡이는 임차인의 책임으로 한다.”

과연 이 문구는 법적으로 유효할까요? 진짜로 ‘환기 부족’이면 세입자가 모든 책임을 져야 할까요? 오늘은 이 문제를 임대차법·하자담보책임·판례·실무 기준으로 아주 명확하게 정리해볼게요.


1. 결론: “환기 의무 조항”은 무조건 유효한 것이 아니다

계약서에 있더라도, 다음 조건에 따라 효력이 달라집니다.

  • 환기해도 결로가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 → 임대인 책임
  • 단열 부족·시공 불량으로 생긴 결로 → 임대인 책임
  • 세입자가 심하게 습도를 높이는 생활패턴 → 일부 세입자 책임 가능
  • 환기를 아예 하지 않은 경우 → 세입자 책임 일부 인정 가능

➡️ 즉, “환기 안 해서 생긴 결로”라고 단정할 수 없는 경우가 훨씬 많고, 원인이 구조·단열·시공 문제라면 세입자 책임으로 돌릴 수 없습니다.


2. 결로는 대부분 ‘건물 구조적 문제’에서 시작한다

많은 사례에서 결로는 단순 생활습관 문제가 아니라 건물 단열의 부족에서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구조적 원인은:

  • 단열재 미시공·불량시공
  • 발코니 확장 후 추가 단열 미흡
  • 외벽과 내부 벽체 사이 열교현상(콜드 브리지)
  • 베란다·창호의 기밀성 저하
  • 지하·1층·북향 세대 구조적 취약

이런 원인은 아무리 환기를 자주 해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은 지자체, LH, 공공주택에서도 결로를 건물 하자의 한 종류로 봅니다.


3. “환기 부족 → 세입자 책임”이 인정되는 경우는?

다음의 경우는 일부 세입자 책임이 인정될 수 있어요.

  • 창문을 24시간 완전 밀폐한 경우
  • 빨래를 실내에 계속 널어둠 (습도 60~80%)
  • 가습기 과다 사용으로 과도한 습기 발생
  • 환풍기 고장 방치

다만, 이 경우도 임대인이 환기 장치·환풍기 관리 의무를 다했는지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4. 하자담보책임 기준 — 결로가 “하자”에 해당하면 임대인 책임이다

민법 및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는 “임대인은 임차인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집을 유지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합니다.

즉, 결로가 다음 조건이면 임대인의 하자담보 책임으로 봅니다.

  •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의 결로·곰팡이
  • 위생·건강 위험(곰팡이·세균 증식)
  • 건물 단열 부족에서 기인한 문제
  • 입주 전부터 존재하던 결로 흔적

이 경우는 계약서에 어떤 문구가 있어도 세입자에게 비용을 전가할 수 없습니다.


5. 환기 의무 조항이 ‘무효 또는 과도한 조항’으로 보는 이유

카페·지식인·법률 상담에서도 다음 이유로 환기 의무 조항을 과도하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세입자는 24시간 집에 있지 않음 → 상시 환기 자체가 불가능
  • 결로는 환기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 단열 구조는 임대인이 책임져야 할 부분
  • 환기 주기·시간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은 조항은 유효성 떨어짐

그래서 “환기 안 해서 생긴 결로”라는 이유로 세입자에게 **벽지, 장판, 도배 비용을 청구하는 것은 부당**일 수 있어요.


6. 결로·곰팡이 분쟁에서 세입자가 반드시 해야 할 5가지

  1. ① 결로 발생 시 사진·영상 확보
  2. ② 벽·천장 곰팡이의 범위 기록
  3. ③ 실내 온도·습도 기록
  4. ④ 환기 여부 기록
  5. ⑤ ‘단열 불량 가능성’에 대한 점검 요청 (지자체 주거환경센터 점검 지원 가능)

👉 TIP: 지자체의 “주거환경개선 지원센터”는 무료로 결로·곰팡이 원인 진단해주는 곳이 많습니다. 단열 문제로 진단 나오면 세입자가 결코 책임질 필요 없습니다.


7. 결론: “환기 부족 = 세입자 책임”은 절대 아니다

계약서 문구만 보고 “결로는 세입자 책임이라고 하니까 비용 내야 하나…” 이렇게 고민하는 경우가 많은데,

원인 분석 없이 ‘환기 부족’만으로 세입자에게 책임을 돌리는 건 잘못입니다.

결로는 건물 구조·단열·설비의 영향이 훨씬 크고, 하자로 인정되면 수리비는 명백히 **임대인 책임**이에요.

따라서 결로 분쟁의 핵심은 “환기를 했는지”가 아니라 “왜 결로가 생겼는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