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30에서는 JLPT N3에서 자주 등장하면서, 실제 회화에서도 엄청 잘 쓰이는 표현 「〜ておく」를 정리합니다.
한국어의 “해 두다 / 해 놓다”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① 사전에 준비해 두기, ② 상태를 유지해 두기라는 두 가지 핵심 뉘앙스를 가지고 있어요. 시험에서도, 드라마에서도, 일본인 일상 대화에서도 정말 자주 들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1. 기본 의미
동사 て형 + おく
- 미리 ~해 두다 (사전 준비, 대비)
- ~한 상태로 두다 (그대로 두기)
예를 들어:
- チケットを買っておく。
→ (나중을 위해) 표를 사 두다. - 窓を開けておく。
→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 둔다.
그냥 “한다”가 아니라, “이후를 위해 의도적으로 해 두는 느낌”이 포인트입니다.
2. 문형 정리
Vて + おく
- 出発の前に、切符を買っておきます。
→ 출발 전에 표를 사 두겠습니다. - 会議の資料をコピーしておきました。
→ 회의 자료를 미리 복사해 두었습니다. - そのままにしておいてください。
→ 그대로 두어 주세요.
공손한 표현, 과거형, 부탁형 등으로도 자주 활용됩니다.
3. 두 가지 핵심 용법
① 사전 준비: 나중을 위해 미리 해 두기
어떤 상황에 대비해서, 지금 미리 해 두는 행동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 明日の会議のために、資料を準備しておきます。
→ 내일 회의를 위해 자료를 준비해 둘게요. - 旅行の前に、ホテルを予約しておいたほうがいいですよ。
→ 여행 전에 호텔을 예약해 두는 게 좋습니다. - 試験の前に、大事なところを確認しておきなさい。
→ 시험 전에 중요한 부분을 확인해 두렴.
② 상태 유지: 그대로 두기
어떤 상태를 바꾸지 않고 유지해 두는 것도 「〜ておく」로 표현합니다.
- ドアは開けておいてください。
→ 문은 열어 둔 채로 두세요. - そのままにしておいて。
→ 그대로 놔둬. - この書類は机の上に置いておいてください。
→ 이 서류는 책상 위에 놓아 두세요.
이때는 한국어의 “해 놔”, “둬”, “두어라” 느낌과 매우 가깝습니다.
4. 회화에서 자주 쓰는 패턴
- あとで読むから、そこに置いておいて。
→ 나중에 읽을 거니까, 거기에 그냥 놔둬. - もう一度連絡しておきます。
→ 다시 한 번 연락해 둘게요. - 時間がないから、先に注文しておこう。
→ 시간 없으니까, 먼저 주문해 두자. - わからない単語はメモしておくといいですよ。
→ 모르는 단어는 메모해 두면 좋아요.
일상 일본어 공부에서 반드시 익혀야 하는 실전 표현입니다.
5. 비슷한 표현과의 차이
① 「〜てある」와의 차이
| 표현 | 의미 | 포인트 | 예문 |
|---|---|---|---|
| 〜ておく | 미리 ~해 두다 / 상태를 두다 | 화자의 의도·행동 강조 | 晩ご飯を作っておきました。 → 저녁을 (미리) 만들어 두었어요. |
| 〜てある | ~되어 있다 | 행위 결과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말함 | 晩ご飯が作ってあります。 → 저녁이 (이미) 차려져 있어요. |
요약: 「〜ておく」 = “내가/누군가 일부러 그렇게 해 둔 것(준비, 의도)” 「〜てある」 = “그 결과 지금 그렇게 되어 있는 상태”
② 단순 「〜ている」와의 차이
- 〜ている : 단순히 지금 ~하고 있다 / ~된 상태이다
- 〜ておく : 이후를 생각하고 미리 해 둠, 또는 놔둠
예)
冷蔵庫にケーキが入っている。
→ 냉장고에 케이크가 들어 있다. (그냥 상태 설명)
パーティーのために、ケーキを買っておいた。
→ 파티를 위해 케이크를 사 두었다. (목적·준비 강조)
6. JLPT N3 시험 포인트
- 문법 문제: “미리, 준비, 그대로 두기” 뉘앙스 있는 문장 → 「〜ておく」 정답 후보
- 청해 문제: 「〜しておいてください」「〜しておきますね」 형태로 자주 출제
- 틀리기 쉬운 점: 단순 과거, 〜てある와 혼동하지 않기
예상 예문 유형:
「明日の会議のために、資料をコピーして( )。」
→ 선택지: おきます / あります / います … → 정답: おきます
7. 암기용 예문 5선
- 日本に行く前に、少し日本語を勉強しておきました。
→ 일본에 가기 전에, 일본어를 조금 공부해 두었어요. - 寒くなるらしいから、コートを出しておこう。
→ 추워진다니까, 코트를 꺼내 두자. - このページはあとで見るから、開いておいて。
→ 이 페이지는 나중에 볼 거니까, 열어 둬. - 分からないところは先生に聞いておきます。
→ 모르는 부분은 선생님께 미리 물어볼게요. - 靴はそのままにしておいてください。
→ 신발은 그대로 두세요.
8. 한 줄 정리
「〜ておく」 = 나중을 위해 ‘미리 해 두는 것’ 또는 ‘그대로 두는 것’
단순한 행동이 아니라 “목적·의도·준비”가 담긴 표현이라는 점만 기억하면,
회화와 시험에서 자연스럽게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