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동작의 시점을 정확히 나타내는 문법 「〜ところだ」를 공부해봅시다. 이 표현은 ‘막 ~하려는 중’, ‘지금 ~하는 중’, ‘막 ~끝난 상태’처럼 **행동의 타이밍**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1️⃣ 문형 정리
| 형태 | 예시 | 의미 |
|---|---|---|
| 동사 사전형 + ところだ | 食べるところだ | 막 ~하려던 참이다 (직전) |
| 동사 ている형 + ところだ | 食べているところだ | ~하고 있는 중이다 (진행) |
| 동사 た형 + ところだ | 食べたところだ | 막 ~끝난 참이다 (직후) |
👉 ‘어느 시점에 있는가(직전·진행·직후)’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2️⃣ 의미별 예문
① 동사 사전형 + ところだ(막 ~하려던 참이다)
- 今から出かけるところだ。
→ 지금 막 나가려던 참이야. - これからご飯を食べるところです。
→ 이제 밥을 먹으려는 참입니다. - ちょうど電話しようと思っていたところです。
→ 막 전화하려던 참이었어요.
② 동사 ている형 + ところだ(~하고 있는 중이다)
- 今、昼ごはんを食べているところだ。
→ 지금 점심 먹는 중이야. - 会議の最中だから、後で電話します。
→ 회의 중이라 나중에 전화드릴게요. - 説明しているところだから、静かにして。
→ 설명 중이니까 조용히 해.
③ 동사 た형 + ところだ(막 ~끝난 참이다)
- 今、宿題を終わったところだ。
→ 지금 막 숙제를 끝낸 참이야. - さっき来たところです。
→ 방금 온 참입니다. - 試験が終わったところなので、少し休みたい。
→ 시험이 막 끝난 참이라 조금 쉬고 싶다.
3️⃣ 시제별 비교 정리표
| 형태 | 시점 | 의미 | 예시 |
|---|---|---|---|
| Vるところ | 직전 | 막 ~하려던 참 | 出かけるところだ。 |
| Vているところ | 진행 | ~하는 중 | 出かけているところだ。 |
| Vたところ | 직후 | 막 ~끝남 | 出かけたところだ。 |
👉 동사의 시제가 곧 ‘행동의 타이밍’을 결정합니다.
4️⃣ 회화 속 표현
| 일본어 | 자연스러운 한국어 | |--------|----------------| | 今、電話をかけるところだよ。 | 지금 전화하려던 참이야. | | ちょうど話しているところです。 | 지금 막 이야기 중이에요. | | ご飯を食べたところだから、お腹いっぱいです。 | 밥 먹은 지 바로라 배불러요. | | 先生に会ったところです。 | 선생님을 막 만난 참이에요. |5️⃣ 「〜たところ」의 특별한 용법
「〜たところ」는 단순히 ‘방금 ~했다’뿐만 아니라, ‘~했더니 (그 결과)’의 뜻으로도 자주 쓰입니다.
- 先生に聞いたところ、明日は休みだそうです。
→ 선생님께 물어봤더니 내일은 쉰대요. - やってみたところ、意外に簡単でした。
→ 해봤더니 의외로 간단했어요.
👉 문장 전체가 ‘결과적 발견’을 의미할 때는 ‘~했더니’로 해석하세요.
6️⃣ 「〜ところで/〜ところが/〜ところを」와의 차이
| 표현 | 의미 | 예시 |
|---|---|---|
| 〜ところで | 막 ~했지만 (상황 전환) / 그런데 | 今さら行っても意味がないところで…。→ 이제 가봤자 소용없는데. |
| 〜ところが | 그런데 (예상과 다른 결과) | 急いで行ったところが、もう終わっていた。→ 서둘러 갔는데 이미 끝나 있었다. |
| 〜ところを | ~하는 중(상황)임에도 불구하고 | お忙しいところをすみません。→ 바쁘신데 죄송합니다. |
👉 「〜ところだ」는 ‘시점’, 나머지 세 표현은 ‘상황·전환·예외’를 표현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7️⃣ 시험 포인트
JLPT N3에서는 시제 구별과 「〜たところ」의 ‘결과 표현’을 묻는 문제가 자주 나옵니다.
예제 문제
ちょうど出かけ( )に、友達が来た。
①るところ ②ているところ ③たところ ④ようとする
✅ 정답: ① (막 나가려던 참에 친구가 왔다)
8️⃣ 말하기 연습 예문
- 今からお風呂に入るところです。
→ 지금 막 목욕하려던 참이에요. - ちょうど昼ごはんを食べているところです。
→ 지금 점심 먹는 중이에요. - 終わったところなので、少し休みます。
→ 막 끝난 참이라 조금 쉴게요.
9️⃣ 한 줄 정리
👉 「〜ところだ」는 ‘행동의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직전(하려던 참)・진행 중・직후(끝난 참)’의 세 가지 상황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