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JLPT N3에서 자주 출제되는 동사 표현 「〜ようとする」를 배워볼게요. 이 문형은 ‘~하려 하다’, ‘막 ~하려는 찰나’라는 뜻으로, 의도·시도·동작 직전의 미묘한 뉘앙스를 나타냅니다. 특히 「〜ようになる」「〜ようにする」와 함께 비교해서 알아두면 시험에서 헷갈리지 않아요.
1️⃣ 문형 정리
| 형태 | 활용 | 의미 |
|---|---|---|
| 동사 의지형 + ようとする | 行こうとする / 食べようとする / 帰ろうとする | ~하려 하다 / ~하려는 순간 |
즉, 동사의 의지형 + ようとする 형태로 쓰며, ‘의도나 시도’를 나타냅니다.
2️⃣ 기본 의미: “~하려고 하다”
행동을 하려고 마음먹거나, 막 그 행동을 시작하려는 찰나를 나타냅니다.
- 家を出ようとしたとき、電話がかかってきた。
→ 집을 나서려던 순간, 전화가 걸려왔다. - 彼は何か言おうとしてやめた。
→ 그는 뭔가 말하려다 말았다. - 寝ようとしたら、外がうるさくて眠れなかった。
→ 자려 하자, 밖이 시끄러워서 잠을 잘 수 없었다. - その子は泣こうとしている。
→ 그 아이는 울려고 하고 있다.
👉 포인트: **행동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직전 상태’**를 표현합니다.
3️⃣ 의지 표현으로서의 「〜ようとする」
화자가 어떤 행동을 하려는 ‘의도’ 또는 ‘노력’을 나타낼 때도 자주 쓰입니다.
- 彼は最後まであきらめようとしなかった。
→ 그는 끝까지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 - 母は私の話を聞こうとしない。
→ 어머니는 내 이야기를 들으려 하지 않는다. - 問題を解決しようとしている。
→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 이 경우 “하려는 노력”이나 “의지”를 강조하는 문맥입니다. 특히 부정형 「〜ようとしない」는 ‘~하려 하지 않는다’의 뜻으로 자주 나옵니다.
4️⃣ 자주 쓰이는 부정형 「〜ようとしない」
“전혀 ~하려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의지나 태도의 부재를 비판하거나 실망스럽게 표현할 때 자주 씁니다.
- 彼は何も話そうとしなかった。
→ 그는 아무 말도 하려 하지 않았다. - 犬がエサを食べようとしない。
→ 개가 먹이를 먹으려 하지 않는다. - 子どもが宿題をやろうとしない。
→ 아이가 숙제를 하려 하지 않는다.
5️⃣ 비슷한 표현과의 차이
| 표현 | 의미 | 차이점 | 예시 |
|---|---|---|---|
| 〜ようとする | ~하려 하다 | ‘의도·시도’ 표현, 실제 행동 전 | 出ようとしたとき、雨が降った。 |
| 〜ようになる | ~하게 되다 | 상태·습관의 변화 | 毎日勉強するようになった。 |
| 〜ようにする | ~하도록 하다 | 노력·주의를 나타냄 | 忘れないようにしています。 |
👉 시험에서는 **「〜ようとする」 vs 「〜ようにする」** 구분 문제가 자주 나옵니다. - “노력해서 습관화된 행동” → 「ようにする」 - “아직 실행 전의 시도나 순간” → 「ようとする」
6️⃣ 회화 속 표현
| 일본어 문장 | 자연스러운 한국어 | |--------------|----------------| | 席を立とうとしたとき、先生が来た。 | 일어서려던 순간 선생님이 오셨다. | | 彼は笑おうとして、うまく笑えなかった。 | 그는 웃으려 했지만 잘 웃지 못했다. | | 話しかけようとしたら、もう帰ってしまった。 | 말을 걸려 했는데 이미 가버렸다. | | 何度も説明しようとしたが、わかってもらえなかった。 | 여러 번 설명하려 했지만, 이해받지 못했다. |
7️⃣ 시험 포인트
JLPT N3에서는 보통 의지형 + ようとしたが/したとき 형태로 출제됩니다.
예제 문제
( )、友達から電話があった。
①出かけようとしたとき ②出かけるとき ③出かけているとき ④出かけたとき
✅ 정답: ① (막 나가려던 순간 전화가 왔다)
또한 「〜ようとしない」 부정형도 자주 나옵니다.
예) 子どもが勉強しようとしない。
8️⃣ 말하기 연습 예문
- 出かけようとしたら、雨が降り始めた。
→ 나가려 하자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 何度も挑戦しようとしたが、できなかった。
→ 여러 번 도전하려 했지만, 할 수 없었다. - 彼女は何も言おうとしなかった。
→ 그녀는 아무 말도 하려 하지 않았다.
9️⃣ 한 줄 요약
👉 「〜ようとする」는 ‘하려는 의도’나 ‘행동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법으로, 아직 행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특히 「〜ようにする」「〜ようになる」와 구분해두면 N3 문법 문제에서 확실히 맞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