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일본어

JLPT N3 Day 21: 「〜わけではない」 — 꼭 그런 건 아니다 / 반드시 ~인 것은 아니다

by 내디디니 2025. 11. 4.
반응형

JLPT N3 문법 중에서 실제 일본인 회화에서도 매우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 바로 「〜わけではない」입니다. 이 표현은 어떤 사실이나 의견을 부분적으로 부정하거나, 상대의 오해를 부드럽게 정정할 때 사용됩니다. 직역하면 ‘그럴 이유는 아니다’, 즉 “꼭 그런 건 아니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1️⃣ 문형 정리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품사 형태 예시
동사 동사 기본형 + わけではない 行くわけではない (가는 건 아니다)
い형용사 い + わけではない 高いわけではない (비싼 건 아니다)
な형용사 な + わけではない 便利なわけではない (편리한 건 아니다)
명사 (という) わけではない 日本人というわけではない (일본인인 건 아니다)

2️⃣ 의미와 뉘앙스

“완전한 부정”이 아니라 “부분 부정”을 나타냅니다. 즉, ‘그렇긴 하지만 전부 그런 건 아니다’라는 미묘한 뉘앙스를 담고 있죠.

  • 全部好きな わけではない。→ 전부 다 좋아하는 건 아니다.
  • 日本語ができない わけではありません。→ 일본어를 못 하는 건 아닙니다.
  • 行きたくない わけじゃないけど、今日は疲れた。→ 가기 싫은 건 아니지만 오늘은 피곤해요.

👉 핵심은, “완전히 부정하지 않지만 약하게 부정”하는 뉘앙스입니다.


3️⃣ 예문으로 익히기

  • 日本の文化が嫌いなわけではありません。
    → 일본 문화를 싫어하는 건 아닙니다.
  • 忙しいわけではないけど、気分が乗らない。
    → 바쁜 건 아니지만, 기분이 안 나네요.
  • お金がないわけではないけど、今は節約中です。
    → 돈이 없는 건 아니지만, 지금은 절약 중이에요.
  • 全部分かったわけではないが、だいたい理解できた。
    → 전부 이해한 건 아니지만, 대체로 이해했어요.

4️⃣ 비슷한 표현과 구분하기

비슷하게 들리는 표현인 〜とは限らない / 〜わけがない / 〜わけにはいかない과 비교해보면 이렇게 정리됩니다 👇

표현 특징 예시
〜わけではない 꼭 ~인 것은 아니다 부분 부정 (완곡한 표현) 高いわけではない (비싼 건 아니다)
〜とは限らない 반드시 ~라고 할 수는 없다 객관적 사실·판단 高いものがいいとは限らない (비싼 게 꼭 좋은 건 아니다)
〜わけがない ~일 리가 없다 강한 부정 彼がそんなことをするわけがない (그가 그런 짓을 할 리 없다)
〜わけにはいかない ~할 수는 없다 도덕적·상황적 제약 約束を破るわけにはいかない (약속을 어길 수는 없다)

👉 즉, ‘わけではない’는 부드럽고 완곡한 부정, ‘わけがない’는 강한 부정, ‘わけにはいかない’는 ‘그럴 수 없음(사회적 제약)’을 의미합니다.


5️⃣ 자주 쓰이는 회화 패턴

  • 〜ないわけではない → “안 하는 건 아니다” → 부분 긍정
  • 〜わけじゃないけど → “~인 건 아니지만…” → 캐주얼 회화체
  • 〜というわけではない → 공식적·격식체

예시 👇

  • 甘い物を食べないわけではない。→ 단 걸 전혀 안 먹는 건 아니다.
  • 嫌いなわけじゃないけど、今はちょっと…。→ 싫은 건 아니지만, 지금은 좀…
  • 全部成功したというわけではありません。→ 전부 성공한 건 아닙니다.

6️⃣ 시험 포인트

JLPT N3 문법 문제에서는 ‘부분 부정 vs 완전 부정’의 구별을 묻는 유형으로 자주 출제됩니다.

예제:
「彼の話が全部正しい(   )。」
①わけではない ②はずがない ③にちがいない ④べきだ
✅ 정답: ① (그의 말이 모두 정확한 건 아니다)


7️⃣ 말하기 연습 예문

  • 日本の料理が嫌いなわけではないが、刺身は苦手です。
    → 일본 음식을 싫어하는 건 아니지만, 회는 좀 힘들어요.
  • 彼のことが嫌いなわけではないが、性格が合わない。
    → 그 사람을 싫어하는 건 아니지만, 성격이 안 맞아요.
  • 試験が難しいわけではなかったが、時間が足りなかった。
    → 시험이 어려운 건 아니었지만, 시간이 부족했어요.

8️⃣ 한 줄 요약

👉 「〜わけではない」는 ‘전면 부정이 아닌 부분 부정’을 나타내며, 상대의 말을 완곡하게 부정하거나 내 입장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쓰는 필수 문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