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6년 적용 기준중위소득이 인상됩니다. 4인 가구 기준 약 6.51% 인상으로,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등 주요 복지제도의 선정기준과 지원 범위가 함께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 핵심 수치와 연말 체크포인트, 신청 Q&A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소득을 중위소득이라 하고, 정부가 매년 고시해 복지제도 선정기준에 활용하는 값을 기준중위소득이라 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이 오르면 복지 문턱(선정기준)이 올라, 대상 가구가 확대되거나 급여수준이 조정됩니다.
2026년 적용 인상 내용 요약
핵심 한 줄: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51% 인상 (’25년 6,097,773원 → ’26년 6,494,738원).
가구원 수별 기준중위소득 비교 (2025년 vs 2026년)
| 가구원 수 | 2025년 | 2026년 | 증감 |
|---|---|---|---|
| 1인 | 2,225,000원 | 2,370,000원 | +6.5% |
| 2인 | 3,729,000원 | 3,972,000원 | +6.5% |
| 3인 | 4,794,000원 | 5,106,000원 | +6.5% |
| 4인 | 6,097,773원 | 6,494,738원 | +6.51% |
※ 5인 이상 가구 기준은 보건복지부 고시 참조. 인상률은 소수점 반올림.
달라지는 복지제도 한눈에
- 생계급여 — 수급 대상 확대 및 기준액 인상 기대.
- 의료급여 — 저소득층 의료비 부담 완화.
- 주거급여 — 임차가구 지원 확대 및 자가 수선 지원 조정.
- 교육급여 — 학용품비·교과서비 등 교육비 지원 상향.
연말 체크리스트
- 우리 가구 소득·재산 현황 점검
- 해당 급여·사업 대상 여부 확인
- 신청 창구·서류 준비 (주민센터/복지로)
- 지자체 추가 지원 확인
자주 묻는 질문(FAQ)
- Q1. 인상분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 2026년 1월부터 각 제도에 반영됩니다.
- Q2. 우리 가구는 해당될까요?
- 가구원 수별 기준중위소득 대비 소득인정액 비율로 판단합니다.
- Q3. 어디서 신청하나요?
-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마무리
2026년 적용 기준중위소득 인상으로 복지 문턱이 낮아집니다. 우리 가구의 해당 여부를 지금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