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에는 영유아 부모를 위한 복지제도가 더 확대됩니다. 특히 부모급여는 지급 기준과 금액이 조정되고, 양육수당·아이돌봄서비스·지자체 돌봄지원금 확대까지 예정되어 있어 부모님들의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6년에 달라지는 주요 아동·돌봄 복지제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 2026년 변화 핵심 요약
- 부모급여 만0·1세 지급 금액 단계 조정
- 가정양육수당 일부 지역 상향 지원
- 어린이집 보육료 단가 인상
-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비율 확대
- 지자체 맞춤형 돌봄지원금(지역화폐형) 확대
1. 2026년 부모급여 변경사항
부모급여는 2024~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인상되었고, 2026년에는 지급 기준 보완과 일부 금액 조정이 이뤄집니다.
■ 2026 부모급여 금액(예상 조정안 포함)
| 연령 | 2025년 | 2026년 변경 | 비고 |
|---|---|---|---|
| 만 0세 | 100만원 | 100만원(유지) | 현금 지급 또는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로 전환 |
| 만 1세 | 50만원 | 50만원(유지) | 가정양육 선택 시 현금 지급 |
2026년에는 금액의 큰 변화보다는 지원 방식의 유연성이 강화됩니다. 즉, 현금 수령 또는 보육료 전환 선택권이 더 명확해지고, 어린이집 이용 시 중복 지원 규정이 정리됩니다.
2. 가정양육수당(양육수당) 2026년 변화
부모급여 대상이 아닌 만 2세~만 6세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에 지급되는 양육수당은 2026년에 일부 상승 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부모급여 도입 이후 상대적으로 축소된 혜택을 보완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2026년 양육수당(가정양육수당) 변화
| 연령 | 2025년 | 2026년 변경 |
|---|---|---|
| 만 2세 | 10만원 | 12만원 (일부 지자체 15만원 상향) |
| 만 3~5세 | 10만원 | 동일(단, 지자체 추가 지원 확대) |
특히 서울, 경기 일부 지자체는 ‘양육플러스 지원금’ 형식으로 월 3~5만원 지역화폐 추가 지급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어린이집·유치원 보육료 단가 인상
2026년에는 어린이집 운영비 및 보육료 단가가 인상됩니다. 이는 부모급여와 별개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가정의 실질적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 주요 변화
- 보육료 단가 3~5% 인상
- 야간·24시간 어린이집 보조금 확대
- 시간제보육 이용권 확대
- 입소 대기 시스템 개선(대기시간 단축)
4. 2026 아이돌봄서비스 지원비율 확대
맞벌이·한부모 가정 증가에 따라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이 강화됩니다. 특히 2026년에는 소득기준 완화로 더 많은 가정이 ‘정부지원형’으로 전환될 전망입니다.
■ 주요 확대 내용
- 정부지원 비율 평균 5~10% 확대
-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대폭 지원
- 연간 정부지원 시간 840 → 960시간 확대 가능성
- 긴급 돌봄 신청 간소화
이 변화로 가정당 연간 평균 15만~30만원 정도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5. 지자체별 ‘돌봄지원금’ 확대 경향
부모급여와 별개로, 각 지자체는 자체적으로 돌봄 지원을 강화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광역시는 지역화폐 지급을 확대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 지원 형태 예시
- 출생아 돌봄지원금(10만~30만원)
- 영아용품 구매비(월 3~5만원)
- 아동치과 검사 지원
- 아토피·알레르기 검사 쿠폰
2026년에는 ‘영유아 가정 맞춤형 패키지 지원’ 형태로 묶여 제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6. 부모급여 + 양육수당 + 돌봄지원금 ‘조합별 혜택’ 예시
부모님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은 “가정에서 키울 때 vs 어린이집 보낼 때” 어떤 혜택이 유리한가입니다.
■ ① 가정양육(만 0세) 선택
- 부모급여 100만원
- 지자체 영유아지원금 3~5만원 추가
- 아동용품 구매비 지원(지역별)
■ ② 어린이집 이용(만 0세)
- 부모급여 100만원 → 보육료로 자동 전환
- 보육료 추가본인부담 0원
- 지자체 어린이집 이용쿠폰 지원(일부 지역)
■ ③ 만 2세 이상 가정양육
- 가정양육수당 10~12만원
- 지자체 추가수당 월 3~5만원
- 아이돌봄서비스 정부지원 확대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부모급여와 양육수당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아니오. 만 0~1세는 부모급여, 만 2세부터는 양육수당이 적용됩니다.
Q2. 부모급여는 현금이 아닌 보육료로만 받는 건가요?
가정양육 시 현금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 전액 보육료 전환입니다.
Q3. 아이돌봄서비스는 부모급여와 중복 사용 가능한가요?
네, 전액 중복 가능합니다.
마무리 — 2026년 아동 복지, ‘현금 + 돌봄서비스’ 투트랙 강화
2026년 아동·돌봄 정책은 단순 현금지원보다 ‘서비스 지원’을 강화하는 흐름이 두드러집니다. 부모급여 금액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아이돌봄·보육서비스·지자체 지원 확대를 통해 실질적인 양육 부담을 줄이는 방향입니다.
지역별로 상이한 지원이 많기 때문에, “○○구 영유아 지원” 키워드로 본인 거주지 혜택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