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년 장기요양 수가 인상 및 등급별 월 한도액
2025년에는 장기요양 수가가 평균 3.93% 인상되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요양보호사 인력배치기준 강화에 따라 수가가 7.37% 인상되었습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등급 | 2024년 월 한도액 | 2025년 월 한도액 | 인상액 |
---|---|---|---|
1등급 | 2,069,900원 | 2,306,400원 | +236,500원 |
2등급 | 1,869,600원 | 2,083,400원 | +213,800원 |
3등급 | 1,455,800원 | 1,485,700원 | +29,900원 |
4등급 | 1,341,800원 | 1,370,600원 | +28,800원 |
5등급 | 1,151,600원 | 1,177,000원 | +25,400원 |
인지지원등급 | 643,700원 | 657,400원 | +13,700원 |
💰 본인부담금 계산 예시
장기요양 1등급자의 경우, 요양시설 이용 시 1일당 급여비용이 90,45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한 달(30일) 기준 총 급여비용은 2,713,500원이며, 본인부담금은 20%인 542,700원입니다. (출처)
🧾 요양보호사 인력배치기준 및 가산 제도
2025년부터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 인력배치기준이 기존 2.3:1에서 2.1:1로 강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수급자가 전월 대비 감소하여 요양보호사를 초과 보유하게 되는 경우, 최대 3개월까지 가산을 적용받을 수 있으며, 연간 최대 6개월까지 지원됩니다. (출처)
🧭 제도 개선 사항 요약
- 수가 인상: 평균 3.93% 인상, 노인요양시설 7.37% 인상
- 등급별 월 한도액 인상: 1등급 기준 236,500원 증가
- 본인부담금: 1등급 기준 월 542,700원
- 요양보호사 인력배치기준 강화: 2.3:1 → 2.1:1
- 가산 제도 보완: 최대 3개월까지 가산 적용, 연간 최대 6개월 지원
📌 관련 링크 및 참고 자료
📌 관련 태그
#2025장기요양수급자한도액 #장기요양수가인상 #요양보호사인력배치기준 #본인부담금계산 #노인요양시설수가
반응형